오복 중 하나인 건강한 치아는 많은 역할을 하는 부위로 늘 꼼꼼하고 청결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어느 날 갑자기 시큰거림, 찌릿함이 느껴진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치아' 문제라고 생각하는데요. 하지만 충치 외에 다른 원인에 의해서 이 시림이나 시큰거림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불쾌한 느낌이 지속된다면 잇몸이 내려앉았다는 신호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잇몸 퇴축의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잇몸이 내려앉았어요!
잇몸 퇴축이란, 잇몸 조직이 손상되어 치근(뿌리)가 육안으로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자주 잇몸이 붓거나 출혈이 보이는 치은염에서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치조골이 파괴되어 잇몸이 내려앉게 되는데요.
이는 이가 시린 것 외에도 찌릿한 통증이 느껴지며, 구취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하루빨리 치료를 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잇몸 퇴축 원인은?
구강 문제는 강한 충격이나 사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잘못된 생활습관, 미흡한 청결관리 등에 의해서도 문제가 일어납니다.
선천적으로 잇몸이 약해 내려앉거나 치아를 지탱하는 잇몸과 치조골이 여러 원인으로 감염된 경우에도 잇몸이 내려앉을 수 있는데요.
그 외에도 잇몸이 내려앉은 원인은 강한 힘으로 양치를 하거나 뻣뻣한 칫솔모를 사용하면 손상될 수 있으니 부드러운 칫솔모로 살살 닦아주어야 합니다.
평소 음식을 다 먹은 후 습관적으로 이쑤시개를 사용하는 분들을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쑤시개를 이용하면 이와 이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지만 잇몸에 상처를 입힐 수 있고, 자극이 되어 잇몸이 쉽게 내려앉을 수 있는데요.
그러니 이쑤시개를 사용하기 보다는 치간 칫솔이나 치실로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방법은?
잇몸 내려앉음, 원인을 살펴보았다면 치료 방법을 살펴보고 적절한 관리를 해주는 것이 구강 건강을 지키는 방법인데요.
여러 치료 중에서 가장 현명한 것은 사전에 예방하는 것입니다. 👍🏻 그러나 이미 진행이 되고 있다면 치과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한데요. 우선 스케일링으로 치석을 제거한 뒤 레진, 보철, 신경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때 뿌리가 노출되어 이 시림이 느껴진 경우 레진으로 공간을 채워 회복할 수 있으며, 치근활택술이나 치은박리소파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한번 내려앉은 잇몸은 자연스럽게 살이 차오르지 않으니 사전에 예방해야 합니다. 평소 청결한 관리로 구강을 지켜주시길 바랍니다!
'치과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케일링 부작용, 정말 나타날까요? (0) | 2023.12.21 |
---|---|
임신 중 치과치료, 시기를 적절하게 고려해서 (0) | 2023.12.07 |
잇몸 물집 생기는 원인 무엇일까요? (0) | 2023.11.02 |
신경치료 중단하면 어떻게 되나요? (0) | 2023.10.26 |
치아 사이 충치 생겼다면? (0) | 2023.10.12 |